3. 정보보호 관리(인증)체계 및 관리법규

Posted by ironmask84
2018. 3. 1. 15:52 컴퓨터공학/Security


* 정보보호 인증체계

1) 접근통제 (식별 -> 인증 -> 인가)  (권한부여, 직무분리, 최소권한 개념으로)

직무분리 : 업무 발생부터 승인, 수정, 확인, 완료 등 모든 과정이 한 사람에 의해 처리될 수 없게하는 보안정책
최소권한 : 허가받은 일을 수행하기 위한 최소한의 권한만을 부여하여, 권한남용에 의한 피해 최소화

방법 : 패스워드 : 사전공격, 무차별 공격, Backdoor, 사회공학, 스니핑 등에 무력화

         i-PIN : 주민번호 저장안해도 되는 장점

         OTP : 분실시 악용, 배터리 방전 문제

         생체인증 : 높은 비용, 사용자 거부감


통합인증체계 : 한번의 인증으로 재인증 없이 전체 시스템에 접근이 가능하게 한 솔루션
각 시스템을 개별적으로 ID/PWD 관리 안해도 되므로 분실하거나 노출위험이 줄어듬
중앙집중관리로 효율적이나, SSO 관리서버가 침해 당하면 모든 서버 보안침해가 가능해지는 위험성 올라감

Kerberos ( 대칭암호 기법, 네트워크를 통한 키분배, 키분배센터 비용 발생)

SESAME (비밀키 분배에 공개키 암호화를 사용, 키관리 비용 감소)

2) 접근통제 보안 위협 및 대응책

  - 사전공격 : Password 암호화 저장 (salt 이용)

  - 사회공학 : 보안 인식 교육 필요

  - 피싱 : 스푸핑 이용

  - 스미싱 : SMS이용한 웹사이트 유인 -> 트로이 목마 S/W 설치 -> 개인정보 유출

3) 기기인증 :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다양한 기기의 안전한 운영을 위해 해당 기기를 식별하는 신뢰된 인증방법

장점 : 보안성 제공, 일관된 보안정책에 의한 구축 및 운영비용 절감, 단일 보안 프레임워크 기반으로한 상호연동성

- 아이디/패스워드 : 보안수준 하, 인증이 쉬운만큼 보안안전성도 약함

- MAC주소 인증 : 보안수준 하, 예로 무선랜 카드,
                       추가적인 어플과 프로토콜 필요없고 접속 용이,
                       기기 바뀌면 새로 MAC 주소 재등록필요, MAC주소 유출되면 큰일, 부인방지 불가

- 암호프로토콜 활용 인증 : 보안수준 중, 예로 802.1x의 EAP, WAP2 등 표준화된 기술 존재
                                   다양한 표준화된 인증방식이 있어 안전성 어느정도 보장,
                                    암호 및 인증 알고리즘의 안정성에 의존함, 오래된 알고리즘은 해커에 의해 깨지기도 함 (RC4)

- Challenge/Response 인증 : 보안수준 상, OTP와 유사하게 일회성 해시값 생성하여 사용자 인증
                                      서버가 랜덤값(Challenge)을 전송 -> client는 수신한 값과 패스워드에 해시 적용해서 반환(Response)
                                       -> 응답받은 서버는 같은 방법으로 해시한 값과 비교해서 일치하면 인증 완료
                                      패스워드로 간편인증이 가능하면서도, 네트워크상 매번 다른값으로 전송되므로 안전
                                      그래도 패스워드 노출되면 보안이 깨짐

- PKI 기반 기기 인증서 기술 : 보안수준 최상, 안전성 높고, 부인방지 기능
                                       인증서 관리(발급, 갱신, 폐기) 비용 발생, CRL 리스트 관리 비용 발생


* 정보보호 관리체계 및 법규 (보안기사 필기에서 챕터 정보보호 관리 참고)

1) 정보보호 정책 : 조직의 내외부 환경과 업무성격에 맞는 효과적인 정보보호를 위해 수행되어야할 항목을 기술한 지침과 규약으로 정보자산을 어떻게 관리하고 보호할 것인지 문서로 기술한 것

2) 정보보호 정책 역할 : 임직원에게 책임할당과책임추적성 제공,
                              기업의 비밀 및 지적재산권을 보호하며
                              기업의 컴퓨팅 자원낭비 방지

3) 정보보호 정책 요소
절차 : 정책 세부 지시사항
표준 : 조직에 적용되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적인 요구사항 정의
기준선 : 정보보호 정책의 일관성 있는 적용을 위해 준수해야할 사항
지침 : 계획수립 및 구현에 대한 권고사항

4) 정보보호 관리자 역할

- 예산확보 (헬프데스크, 개발, 인프라, SW 보안기능 추가

- 타 부서와 협업하여 책, 절차, 기준선, 표준, 지침을 개발

- 보안인식 프로그램 개발 및 제공 : 집합교육, 온라인교육, 보안관련 포스터 공모

- 비즈니스 목적에 대한 이해 
--> 조직의 목표 및 환경 (강약점, 위협, 기회, 법/규제 등)

- 최신 위협/취약점에 대한 인지

- 정부의 법/규정에 대한 컴플라이언스 여부 점검

- 최신 기술 습득 (정보보안 연합회, KISA한국인터넷진흥원 등 과의 관계 구축)

5) 계층별 책임 및 역할

- 경영진 : 정보자산 보호 전반적인 책임, 정보시스템 위험 이해
- 정보보호 이사 : 조직의 정보보호 활동에 대한 계획 수립, 설계, 검토
- 보안전문가 : 보안정책, 절차, 표준, 기준선, 지침 개발 및 구현
- 데이터 소유자 : 정보자산에 대한 책임
- 데이터 관리자 : 시스템 관리자, 백업 수행
- 정보시스템 감사인 : 정책, 절차, 표준, 기준선, 지침을 준수하는지 검토
- 비상계획 관리자 : 비상상황에 대비한 계획 수립
- 보안관리자 : 사용자 접근요청을 처리 및 권한 부여

6) BCP(Business Continuity Planning) 와 DRP(Disaster Recovery Planning)
- 비즈니스 연속성 계획 : 재난 발생 시 비즈니스 연속성을 유지하려는 방법
정상적 운영을 위한 데이터 백업 등을 통해 핵심업무 기능을 지속하는 환경 조성
사업활동이나 프로세스가 중단되는 것에 대항
비즈니스 영향 평가인 BIA가 선행되어야 함
BIA 평가
- 중요기능과 시스템, 리소스 식별
- 리소스에 대한 최대 허용 중단시간 MTD 계산
  수시간 내(매우 치명적), 24시간 내(치명적), 36시간 이상(필수), 일반
- 중단 영향과 허용 가능한 정지시간 기반으로 복구 우선순위 개발
- 위험과 취약점을 식별하고 위험을 계산
- 백업 솔루션 개발

* BCP 계획 수립 절차
비즈니스 분석 -> 위험평가 -> 비즈니스 연속 전략개발-> 비즈니스 연속 계획 개발 -> 계획 연습

* BCP 전체 단계 (NIST 미국 상무부 기술관리국 산하)
계획 수립 -> BIA 평가 -> 예방 통제 식별 -> 연속성 전략 개발 -> 연속성 계획 개발 -> 테스트, 훈련 -> 계획의 유지관리

- 재난 복구 계획 : 재해나 재난으로 인해 정상시설로의 접근거부 등의 이벤트를 다루며,
응용프로그램, 컴퓨터 설비의 운영재개와 같은 IT 중심의 계획을 말한다.
핵심 정보시스템과 데이터가 중단되는 것에 대항
( (화재, 지진, 태풍),  (폭격, 테러, 방화),  ( 장비고장, 소프트웨어 에러, 통신 네트워크 중단) 등)

- 복구전략

1) 미러사이트 : 초기투자 및 유지보수 비용 높으나 실시간 복구가 가능하다

2) 핫 사이트 : 비동기적 방식으로 실시간 미러링을 통해 데이터 최신 유지, 액티브 전환을 4시간 이내

3) 웜 사이트 : 중요성이 높은 정보자원만 부분적으로 재해복구 센터에 보유,
                  실시간 미러링을 안하고 백업주기가 수 시간 ~ 1일 정도

4) 콜드사이트 : 데이터만 원격지에 보관하고 수일 ~ 수주 로 원격지에 백업한다.
                     비용이 저렴하지만, 복구 소요시간이 매우 길고 신뢰성이 낮다.

- RAID

데이터 이중화 및 성능향상을 위한 기술
몇개의 물리적 디스크를 묶고 이것들을 논리적 배열로 정의하여,

저용량, 저성능, 저가용성인 디스크를 중복으로 구성함으로 고용량, 고성능, 고가용성 디스크를 대체한다.
실제 데이터는 여러 개의 물리적 디스크에 저장

1) 데이터 스트라이핑 : 데이터를 여러 조각으로 나누어 여러 디스크에 분산 저장하고 동시에 엑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로
균등 저장을 위해 라운드 로빈 방식을 사용,  I/O 속도 향상,  중복성은 없음, 일부 디스크 고장 시 복구 불가

2) 중복 : 일부 데이터가 손실된 경우 복구할 수 있도록 중복 저장,
            하나가 고장나면 다른 하나 즉시 사용 가능하지만 비용이 많이 든다.

RAID Level 0 : 스트라이핑 

RAID Level 1 : 미러링 방식이다. 즉, 중복 특성

RAID Level 0 + Level 1 방식도 존재


7) 물리적 보안

시설 위치 선정, 데이터센터 위치 선정 및 설계, 전력에 관한 설계 (정전 대비 등),
입구 통제(자물쇠, 생체인식 등), 온습도 등 환경고려 설계 

8) 디지털 포렌식 : 법정 제출용 디지털 증거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기술
    CERT (컴퓨터 비상 대응 팀) : 한국인터넷진흥원 산하 인터넷침해대응센터 있음

9) KISA - ISMS 인증 :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객관적 평가를 통해 인증하는 제도
심사 분야-> 정보보호 정책, 정보보호 조직, 외부자 보안, 정보자산 분류, 정보보호 교육 및 훈련,
인적보안, 물리적 보안, 시스템개발 보안, 암호통제, 접근통제, 운영 관리, 전자거래 보안, 보안사고 관리,
검토 모니터링 및 감사, 업무 연속성 관리

 인증취득 효과
- 피해사고 피해액 감소
- 정보자산 보호기술 및 정보보호를 위한 관리기술 향상
- 신뢰성 및 기업 이미지와 경쟁력 강화
- 정보보호 인식 제고


* 관련 법규

1) 개인정보 보호
   - 개인정보의 수집 이용의 동의
   -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의 제한
   - 주민등록번호의 사용 제한
   - 개인정보의 제공 동
   - 개인정보 관리책임자 지정
   - 개인정보 누출 등의 통지 및 신고
   - 개인정보의 파기 
   - 개인정보 이용내역의 통지

2) 전자서명법
   - 공인인증서에 기초한 전자서명을 말한다.
   - 전자문서의 안전성와 신뢰성 확보를 위해 사용자 편익 증진
   - 공인인증기관, 공인인증서, 인증업무의 안전성 및 신뢰성 확보, 전자서명인증 정책의 추진
최상위 기관 : KISA,   공인인증기관 : 한국정보인증, 코스콤, 금융결제원, 한국전자인증, 한국무역정보통신

3) 개인정보 제공 동의 획득시 고지사항
- 개인정보의 이용목적
- 이용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시간
- 동의 거부권이 있다는 사실 및 동의 거부에 따른 불이익 공지
- 변경사항이 있으면 다시 알리고 동의 받아야 함

4) 개인정보 유출 시 통지사항
- 유출된 개인정보의 항목
- 유출된 시점과 그 경위
- 유출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잇는 피해 최소화 위해 정보주체가 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정보
- 개인정보처리자의 대응조치 및 피해 구제절차
- 정보주체에게 피해가 발생한 경우 신고 등을 접수할 담당부서 및 연락처